본문 바로가기

제부도 매바위 2008년 12월 28일 제부도 매바위 대표적인 씨스텍으로 알려져 있는 제부도 매바위 씨스텍은 파랑의 침식, 절리, 암석의 경연차 등에 의해 육지 또는 섬에서 분리된 해안 침식지형이다. 절리를 따라 떨어져 나온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진이 작긴 하지만 이우평 선생님이 쓰신 134쪽 사진에서 과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씨스텍의 하부가 침식(기저굴식)에 의해 지지력을 잃어서 무너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우평 선생님께 확인한 결과 책에 사용된 사진은 2000년에 촬영된 것이라고 합니다. 더보기
안산 원곡동 - 국경 없는 마을 2008년 12월 27일 안사 원곡동 일대 - 국경 없는 마을  원곡동에 위치한 외국인 주민센터 일반적인 주민센터(동사무소)와는 별도로 위치해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이야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아직은 책꽂이에 빈자리가 꽤 보였지만 이런 도서관이 있다는 것 자체가 새로웠다. 국경 없는 마을로 지정(?) 되어있는 지역의 공원 같은 곳에 있는 간판이다. 다양한 국가(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온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로 쓰는 것보다 그림으로 그리는 것이 효과적이어서 사진처럼 표시를 하고 있다. 안산시의 계획으로 간판 정리도 하고 거리도 좀 꾸몄는데, 이곳을 관광화 한다는 생각이 과연 올바른 것일까? 안산에서 이곳은 범죄율이 꽤나 높다고 .. 더보기
용인 한국민속촌 2009년 02월 21일 용인 한국민속촌  입구를 통과해서 식당과 상점들을 지나면 오른쪽에 보이는 대장간 그리고 민속촌에 동행한 두 사람 오랜만에 어렸을 때 밭에서 봤던 농기구들이 있어 신기하기도 했고, 초입부터 생각보다 잘 꾸며져 있을 것 같다는 예감이 들었다. 지역별로 조금씩 모양이 다른 낫과 호미가 걸려 있었다. 토양, 기후가 달라서 주로 키우는 농작물도 다르고 그래서 농기구의 모양도 다를 것이다라고 추측... 지금도 낫이랑 호미 정도는 사용하데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까? 울릉도에서 그대로 옮겨왔다는 전통가옥 지금 모습은 가옥 뒤쪽에서 사진을 찍은 모습이다. 뒤쪽은 우데기는 없고 우데기를 설치(고정)하기 위한 틀만 있었다. 울릉도 나리분지에 있는 것이나 민속촌에 있는 전통 가옥 모두 귀틀집이다.. 더보기